블록 공사 모든 것! 재료, 건설, 시공 방법 총정리
본문 바로가기
건축학

블록 공사 모든 것! 재료, 건설, 시공 방법 총정리

by 리빙 큐레이터 2025. 2. 20.
반응형

집을 짓거나 건물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벽체 시공입니다. 벽이 튼튼해야 건물의 수명이 길어지고, 안전성이 확보되기 때문이죠. 많은 사람들이 "블록 공사는 그냥 쌓아 올리면 되는 거 아닌가?"라고 생각하지만, 실제로는 다양한 블록 종류와 시공 방법이 있으며, 이를 올바르게 시공해야 내구성이 뛰어난 건축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. 특히, 블록 공사는 내·외벽 구조체 및 마감공사로 많이 활용되며, 적절한 철근 배근과 보강을 통해 더욱 튼튼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블록 공사의 종류, 시공 방법, 그리고 구조적 제한 사항까지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벽돌 시공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알고 싶으시다면 위 링크를 클릭해주세요!

 조적공사의 원리와 벽돌공사 시공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알고 싶으시다면 위 링크를 클릭해주세요!

 

블록공사 안내

목차

1.개요

2.블록의 재료

3.블록구조의 종류

4.블록 건설의 구축 방법

5.구성제한사항

6.결론 

1️⃣ 개요

블록 공사는 조적공사의 한 종류로, 내·외벽 구조체 및 마감공사로 활용도가 높습니다. 특히 세로철근 및 사춤을 포함한 보강블록조는 1960~70년대에 군대 막사나 축사 건물 등에서 많이 사용된 구조 형식입니다.


2️⃣ 블록의 재료

블록은 형태와 비중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,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됩니다.

🔹 블록의 종류

기본형: BI형, BM형, BS형 (우리나라에서는 BI형이 기본형) ✅ 이형 블록: 창대블록, 인방블록, 쌤블록 ✅ 특수형 블록: 특정 용도에 맞춘 블록

🔹 비중에 따른 구분

경량블록: 기건 비중이 1.8 미만 ✅ 중량블록: 기건 비중이 1.8 이상

🔹 이형 블록의 종류

구분내용

창대블록 창문틀 밑에 쌓는 블록
인방블록 창문틀 위에 쌓으며 철근과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U자형 블록
쌤블록 창문틀 옆에 쌓는 블록

🔹 블록의 치수

형상 길이(mm) 높이(mm) 두께(mm) 허용치(mm)
기본블록(BI형) 390 190 190(8"), 150(6"), 100(4") 길이 ±2, 높이 ±3
이형블록 최소 길이·높이·두께 90mm 이상 - -

3️⃣ 블록구조의 종류

블록 구조는 크게 단순조적 블록조, 보강 블록조, 거푸집 블록조, ALC 공사로 나뉩니다.

🔹 (1) 단순조적 블록조

✅ 단순히 쌓는 형식으로 **내력벽과 비내력벽(장막벽)**이 있음

🔹 (2) 보강 블록조

철근을 가로·세로로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다져넣은 블록구조

세로근은 잇지 않고 배근 후 테두리보에 40d 이상 정착

가로근은 철근·보강 철망을 가로줄눈 속에 60~80cm (3~4켜)마다 배근, 이음길이 25d 이상, 모서리 부분에서 40d 이상 정착

모르타르·콘크리트 피복 두께는 2cm 이상 유지

사춤높이는 3켜 이내로 하고 블록 윗면에서 5cm 아래에서 이어 붓기

세로근 필수 위치: 벽 끝, 모서리, 교차부, 문꼴 주위

🔹 (3) 거푸집 블록조

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블록 구조

✅ ㄱ자형, ㄷ자형, ㅁ자형 블록 사용하여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

✅ 공기 단축 가능하지만 줄눈을 통한 시멘트물 유출, 다짐 어려움, 접착력 약화 등의 단점 존재

🔹 (4) ALC(경량기포콘크리트) 공사

고온·고압 증기 양생한 블록 및 패널 공사

비내력벽 공사: 하루 최대 쌓기 높이 2.4m 이내, 개구부 상부 200mm 이상 걸침, 블록 보수작업은 설치 후 1일 이후 시행

내력벽 공사: 전동톱 사용하여 절단, ALC용 보강철물로 2단마다 고정, 배합 후 1시간 이내 모르타르 사용


4️⃣ 시공

🔹 (1) 시공도 작성 시 기입사항

✅ 블록의 평면·입면 나누기

✅ 벽 중심간 치수

✅ 개구부 안목 치수

✅ 철근 삽입 및 이음 위치

✅ 철근 지름 및 개수

✅ 콘크리트 사춤 개소

✅ 나무벽돌, 앵커볼트 위치

✅ 급·배수관, 전기배선관 위치

🔹 (2) 시공 사항

시공 순서: 하부 정리 → 세로 규준대 설치 → 블록 쌓기 → 철근 및 메시 세우기 → 사춤 콘크리트 채우기

✅ 블록의 먼지 및 오염물 제거, 모르타르 접착면 물축임

✅ 블록은 살 두께가 두꺼운 편이 위로 가도록 쌓음

✅ 하루 최대 쌓기 높이는 1.2~1.5m(블록 6~7켜정도)

 ✅ 세로줄눈은 막힌 줄눈으로 처리

✅ 줄눈 너비 10mm, 모르타르 빈틈없이 바르기

블록 쌓기 후 줄눈누르기 및 줄눈파기 (10mm 깊이, 청소 후 치장줄눈)

✅ 치장줄눈은 일반적으로 평줄눈을 적용하되, 벽면에서 1mm 들여서 마감


5️⃣ 구조 제한 사항

길이 제한: 10m 이하

높이 제한: 4m 이하

두께 제한: 15cm 이상, 주요 지점 간 평균 거리의 1/50 이상

바닥면적 제한: 80㎡ 이하

벽량: 클수록 횡력 저항력 증가

인방보: 인방블록에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, 좌우 20cm 이상 벽에 연결

테두리보: 조적조 맨 위에 설치, 벽체 분산 및 하중 균등 분포, 벽 두께의 1.5배 높이

기초보: 벽체를 일체 연결하여 지반에 균등한 하중 분포, 부동침하 방지, 기초판 두께 15cm 이상 유지


6️⃣ 결론

블록 공사는 내력벽 및 비내력벽 구조체로 많이 활용되며, 보강 블록조거푸집 블록조 등의 다양한 시공 방식이 존재합니다. 철근 배근 및 모르타르 사춤을 적절히 적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,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구조 제한 사항을 준수하여 시공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 🏗️

📌 추가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

반응형